M E D I A N
B R I E F

HALLOWEEN

BY MEDIA N

BRIEF
MEDIA N

The evening before All Hallows' Day

All Hallows' Eve

우리에게 낯선 핼러윈(Halloween), 조금씩 익숙한 문화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어린 아이들이 달콤살벌한 복장을 하고 사탕과자를 얻는 장면, 여러 번 보셨죠. 장난스러운 코스튬에 익살맞은 얼굴 분장까지, 아이들의 장난에 당하지 않으려면 매해 10월 31일에는 사탕과자를 잊지 않아야겠습니다. MEDIA N 과 함께하는 친절한 핼러윈, 어둠과 유령과 호박이 함께하는 이색 축제, 같이 떠나 보시죠. | Created by MEDIA N

What is Samhain?

The Great Fire Festival

이제는 모든 나라가 같은 달력 주기를 사용합니다. 시차가 있지만, 1년을 365일로 나누고 1월 1일 새해의 시작을 알리죠. 핼러윈의 유래는 고대 켈트족의 달력 주기에서 시작했다고 전해집니다. 그들은 12월 31일을 한 해의 마지막 날로 보지 않았습니다. 바로 핼러윈, 즉 10월 31일 1년이란 주기가 끝난다고 봤습니다. 농사가 인류에게 주요했던 시절, 수확이 마무리 되는 가을이 한 해의 끝이 되는 건 어쩌면 당연합니다. 켈트족은 새해 전날 삼하인(Samhain)이란 가을 축제를 열었습니다. 죽은 망자를 달래는 날이죠. 이날 켈트족은 음식을 유령이 먹도록 마을 변두리에 두었다고 합니다. 새해 시작과 함께 죽은 이들이 원한 없이 떠나게 하려는 목적이죠. 저녁무렵 마을에 커다란 모닥불을 피우고 드루이드(druid)로 불리는 성직자가 종교 의식을 주도했습니다. 우리 문화와 굳이 비교하자면 동지에 팥죽을 먹는 풍습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죠.

Trick or Treat, Don't be angry

The Feast of the Dead

고대 켈트족 마을, 저녁거리에는 살아 있는 사람과 유령이 함께 돌아다닙니다. 으쓱하죠. 귀신들이 평화롭게 떠나기를 바라는 소망과 어린 아이들의 장난을 막는 지금은 많이 다르죠. 대형 모닥불 주변, 짐승의 탈을 쓴 드루이드가 주문을 읊는 모습이 그려지시나요. 삶과 죽음의 경계가 흐려지는 핼러윈, 산자와 망자가 같은 공간에서 같은 시간을 보낸다는 축제가 펼쳐집니다.

자, 그런데 평소 마을에서 악질적인 사람으로 여겨지던 이도 죽었습니다. 아무리 유령이 되었어도 그를 위해 아까운 음식을 낭비하기 싫습니다. 외로운 넋은 저승길조차 찾기 어렵죠. 바로 잭 오 랜턴(Jack-o'-lantern) 이야기입니다. 어쩌면 핼러윈보다 유명할지 모르겠습니다. 등불처럼 빛나는 호박 머리, 그는 전 세계 유명인사입니다. 고대 켈트족 마을에도 잭 오 랜턴 같은 사람이 있었죠. 어찌 됐든 가을 수확을 마친 시기에 호박,  무 같은 재료가 넘쳤습니다. 속을 파내어 눈과 코, 입을 만들고 잘 보이도록 양초나 전등을 안에 넣으면 잭 오 랜턴이 완성됩니다.

잭 오 랜턴도 잊지 않았고 이제 다른 망자를 돌볼 시간입니다. 전쟁터에서 돌아오지 못한 친구, 병을 앓다가 떠나간 가족, 사냥터에 나가 죽음을 당한 이웃의 넋이 마을을 떠나지 못했습니다. 억울하게 누군가에 의해 사고를 당한 이들까지, 자신의 죽음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망자는 지인 주변을 떠돌죠. 마을에 어둠이 내리면 유령이 아른거리고 흐느끼는 소리마저 들립니다. 죽은 자들을 달래야 할 시간입니다. 모닥불로 마을을 밝히고 지난 한해 수확한 곡물과 고기로 음식을 만들어야 합니다. 망자가 산자를 잡지 않도록 말이죠. 이런 일에는 전문가의 도움이 절실합니다. 죽은 자의 일이니까요. 마을에서 식견이 뛰어나고 아는 게 많다는 드루이드가 나서야 할 때입니다.

Some men are born posthumously

Dark, Dead, Jack-o'-lanterns

드루이드는 낯선 존재인데, 다신교를 유지했던 켈트족은 신과 인간을 연결할 매개체가 필요했습니다. 성직자로 여겨지는 드루이드는 당시 지식인에 속했습니다. 무속은 물론, 의료와 재판, 정치에도 관여했다고 전해집니다. 기독교가 퍼지면서 그 모습이 사라지죠. 종교관이 다른 이들에 의해 드루이드가 폄하된다는 주장이 있는데, 현재 남아 있는 기록에 제물로 사람을 받치고 양민을 수탈했다는 비난을 받기도 합니다. 역사가 단지 승자의 기록에 불과하다면 드루이드는 억울하겠죠.

이제 정말 망자의 넋을 달래며 마을을 떠나보낼 차례입니다. 이승과 저승의 모호한 경계, 그 경계가 흐려지지 않도록 해야겠죠. 인신공양을 했든, 단지 허수아비를 불태웠든 마법사 드루이드는 다시금 평온한 시간을 선사할 겁니다.  모든 사물에 정령이 깃든다고 믿었던 고대 켈트족, 드루이드는 특별한 존재였습니다. 그들을 이제 찾아볼 수 없지만 그 의식은 핼러윈으로 남아 있습니다.

MEDIA 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