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 E D I A N
B R I E F

story
plus

벼루, 연(硯)
조선시대 | 국립중앙박물관

문방사우

필기도구가 마땅치 않았던 과거, 문방사우는 귀한 대접을 받았다. 지금처럼 전화가 없던 시절 서신으로 멀리 있는 사람과 대화를 해야 하는 상황에서 붓과 먹물은 필수. 먹을 가는 용도인 벼루는 돌이나 때로는 자기로도 제작됐다.

새겨진 문양

벼루에는 학이나 용 또는 매난국죽 등의 모양이 담겼다. 사용하는 주된 이들이 선비와 같은 지배계급이었던 만큼 그들이 동경하는 동식물로 문양을 새겼다. 사진 속 벼루는 특이하게도 꽃게를 상단과 왼편에 장식했다.

다양성

흔히 커다랗고 무거운 벼루를 떠올리지만 여행 중간 서신을 작성하려면 이동이 편한 크기의 작은 벼루도 필요했다. 아울러 돌로만 제작한 게 아니라 도자기, 옥이나 수정, 비취, 금과 은 등으로도 벼루를 만들어 사용했다.

묵지, 연지

물론 평평한 벼루도 있으나 대개의 벼루는 먹즙이 모이도록 묵지, 연지라는 홈을 냈다. 먹을 가는 벼루 연당 부분에서 이곳으로 먹물이 모였고 붓에 묻혀 글과 그림을 그렸다. 벼루는 무덤에서도 발견되는데 사후 세계를 믿는 이들의 사고관이 담겼다. 이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공통되는 부분으로 무덤의 주인이 평소 애용하던 물품일 수 있다.

CREATED BY
MEDIA N


READ MORE


MEDIA 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