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 E D I A N
B R I E F

story
plus

사재기 | 장터길 단원
국립중앙박물관 | CREATED BY MEDIA N 2023. 7. 2.

민생경제

일본 원전수 방출 문제로 한반도 전체가 시끄럽습니다. 환경 오염 여부가 주된 관심사인데 과학적, 객관적 사실로 올바른 판단이 이뤄지겠죠. 우리는 이러한 일들이 반복될 때마다 나타나는 사회현상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바로 사재기 풍조죠. 상업주의 시대, 사재기는 민생경제에 커다란 영향을 줍니다. 한번 오른 물품 가격은 떨어지기 어렵죠.

리스크와 수익

빛과 소금이라는 말이 있을 만큼, 소금은 일상에서 없어선 안 될 중요 양념 재료죠. 모든 음식에 소금이 들어간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원전수 방출은 환경 오염이라는 우려를 야기했고 결국 소금 사재기로 이어지는 결과를 낳았죠. 사재기는 일시적 폭리를 취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력적인 투자 기회입니다. 조선시대 연암 박지원이 지은 소설 '허생전'을 보면 이같은 사재기가 묘사됩니다. 허생은 빌린 돈으로 매점매석을 통해 큰 돈을 벌죠. 과거에는 제한된 상업만이 가능했고 물류 시스템이 갖춰지지 않아 매점매석이 쉬웠습니다. 지금 같은 때는 무역을 통해 정부에서 긴급 물량을 해외에서 공수하죠. 계란 가격이 폭등하거나 밀가루 가격이 오르면 각종 정부 대책이 쏟아집니다.

매점매석

특정 상품의 가격이 오를 것을 예상해서 물품을 사재기하는 허생, 큰 돈을 벌어 해피엔딩을 맞지만 이에 따른 위험성은 큽니다. 코로나 사태로 일회용 마스크 수요가 폭등했으나 이제는 문을 닫는 마스크 업체가 늘었다는 소식이 있죠. 필요는 발명의 어머니라고 반영구적인 마스크도 개발됐습니다.

사회문제

일부 계획경제 국가에서는 필수품의 경우 품절 사태를 맞기도 합니다. 개인당 구매할 수 있는 양을 정해서 수급을 조절하기도 하죠. 비누나 화장지, 치약 등도 가끔 이런 대상이 됩니다. 한정적인 재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한다는 취지의 계획경제 역시 중간에 물품을 빼돌리거나 사재기하는 이들로 현실적 문제에 봉착합니다. 인간의 본성과 맞닥뜨리는 사재기, 현명한 지혜로 헤쳐나갈 할 사회문제입니다.

CREATED BY
MEDIA N


READ MORE


MEDIA 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