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 E D I A N
B R I E F

[카테고리:] BRIEF

MEDIA N is KOREAN leading news service system. MEDIA N provides audiences in KOREA with high quality and distinctive services across online. MEDIA N also delivers impartial news and information to overseas KOREAN around the globe through the World Service.

MEDIA N

BY MEDIA N BRIEF
IMG : National Museum of Korea

Unlimited untaggable
OUTSMART MEDIA N

Unlimited untaggable
OUTSMART MEDIA N

MEDIA N

BY MEDIA N BRIEF
IMG : National Museum of Korea

Unlimited untaggable
OUTSMART MEDIA N

Unlimited untaggable
OUTSMART MEDIA N

MEDIA N

BY MEDIA N BRIEF
IMG : National Museum of Korea

Unlimited untaggable
OUTSMART MEDIA N

Unlimited untaggable
OUTSMART MEDIA N

봄 문턱에서 그려본 겨울, 세한도
MEDIA N


POWERED BY MEDIA N BRIEF
IMG : National Museum of Korea

Unlimited untaggable
OUTSMART MEDIA N

Unlimited untaggable
OUTSMART MEDIA N

story
plus

무의식 속 제도와 법률
아직도 몰상식과 불합리가 사회를 잠식한다.

모자란 인간이 만든 바벨탑

인간이 만든 제도와 법, 악법도 법이라 죽어간 철학자. 하지만 인간은 불완전한 존재, 그들의 일생을 좌우하는 제도와 법률...

참사만 있고 책임은 없다

특정 국가의 여전한 신분 제도와 보이지 않는 철벽, 14세기무렵 시작된 유럽의 종교재판, 그 혼란 속 마녀사냥으로 죽어간 숫자는 대략 20~50만명. 무의식으로 받아들인 제도와 법률이 초래한 참사.

지난 18, 19대 국회에 제출된 의안 숫자는 3만건

여전히 4대 성인을 양산중인 사회, 신을 닮았다는 인간은 아직도 불완전한 법률을 제정하고 해석중이다. 그것도 연간 만 번 가까이. 악법도 법이라 따르는 무의식의 존재, 인간. 이에 관한 두둔이 짧게는 그들의 하루, 더 나아가 일생을 좌우했다.

제도와 법률 뒤로 숨은 몰상식

누구나 공평하게 주어진 24시간과 한번의 인생. 당신은 불완전한 제도와 법률로 누군가에게 돌을 던졌다. 이를 인지하는 데 걸린 시간은 수백년. 그 와중에 철학자는 죽고 마녀는 화형됐다.

CREATED BY
MEDIA N


READ MORE


 

 

story
plus

람세스 2세
이집트 아비도스, 람세스 2세 신전, 기원전 약 1279-1213년 | 브루클린박물관

장수한 왕

고대 이집트 전성기를 이끌었던 람세스 2세는 장수했다고 알려졌다. 그는 90세까지 이집트를 통치했고 지금도 분쟁이 발생하는 팔레스타인을 두고 전쟁을 벌였다.

석회암 재질

유물은 석회암과 안료를 사용해 파라오, 즉 람세스 2세를 묘사했다. 석회암은 내구성이 좋고 가공이 비교적 쉽기 때문에 조각 재료뿐 아니라 건축용 석재로 널리 쓰인다. 산호와 조개 등 다양한 생물체의 패각이 쌓여 형성된 석회암은 주로 따뜻한 기후, 또는 열대지방의 얕은 바다에서 굳어져 생긴다.

불멸의 파라오

파라오는 고대 이집트 왕국을 통치하는 왕을 지칭한다. 내세를 믿었던 이집트는 왕이 죽은 뒤에도 영혼이 남아 불멸한다고 믿었다. 이 때문에 통치기간 피라미드를 지어 사후에 지낼 공간을 만들었다. 인간이 아닌 신으로 추앙됐던 파라오는 피라미드 안에서 영원한 권력과 안식을 누렸다.

거대 피라미드

이집트 기자 지구에 가면 전체가 석회암으로 이뤄진 거대 피라미드가 발견된다. 벽돌형태로 가공하기 쉽기 때문에 건축물의 바닥이나 기둥으로 사용됐다. 우리나라에서도 석회암으로 이뤄진 유적이 발견되곤 한다. 대표적인 문화재가 원각사 10층 석탑. 현재도 고급 건축물의 내장재로 사용되며 예술적 가치를 지닌 조각상의 재료로 사용된다.

CREATED BY
MEDIA N


READ MORE


story
plus

토티르데스의 관
이집트 테베, 기원전 8-7세기 | 브루클린박물관

공포스런 미라

고대 이집트 왕조는 사후 세계를 믿어 죽은 이를 미라로 만들었다. 흔히 붕대로 감긴 시체가 되살아 인간을 좇는 영화가 많은데 실제 시체를 아마천으로 싼 뒤 관에 넣었다. 미라로 된 시체는 공포스럽게도 내장이 모두 제거된 상태로 자신이 죽은 뒤 시체가 썩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이 같은 작업을 했다.

사자의 서

미라와 함께 발견되곤 하는 유물이 있는데, 바로 사자의 서. 고대 이집트인은 죽은 뒤, 신 오시리스 앞에서 심판을 받고 자신의 죄를 고백해야 했다. 사후 세계의 안내서로 여겨지는 사자의 서는 망자가 기억해야 할 내용이 적혔다. 신이란 심판자 앞에 선 망자, 그들은 자신의 심장과 깃털을 무게로 재서 더 가벼워야 영생이라는 기쁨을 얻었다.

망자의 여행

머릿속의 뇌마저 제거 당하고 장기는 단지에 넣어 관과 함께 매장됐다. 발견된 미라의 관은 177.8센티미터, 미라는 154.9센티미터의 크기를 하고 있다. 당시 살았던 이들의 신장도 알 수 있는 유물. 관은 오시리스을 닮았고 관의 겉면에는 망자가 죽은 뒤 여행하는 사후 세계가 그림으로 펼쳐진다.

쇠퇴한 왕조의 유물

관의 주인으로 알려진 토티르데스는 이집트 제26왕조 시기에 살았던 인물로 추정된다. 기원전 664년부터 기원전 525년 사이에 이집트를 다스렸다고 알려진 왕조는 고대 페르시아와 전쟁을 치르며 쇠퇴했다.

CREATED BY
MEDIA N


READ MORE


story
plus

화성
조선 정조 임금과 신하 정약용의 염원

유럽 성채가 부럽지 않은 문화재

정조와 정약용의 합작품으로 알려진 화성. 장안문과 팔달문, 창룡문, 화서문이 둘러싼 화성은 국내에서 보기 드문 성채로 완벽에 가까운 아름다움을 자랑한다.

친위대와 왕권강화

당초 성이 완성되기까지 10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됐으나 정약용은 과학기술을 적용해 3년도 걸리지 않는 시간에 성채를 완성한다. 성에는 정조의 친위대를 두어 왕권강화에 한몫을 담당한다.

화성행궁

화성에는 정조 임금을 포함해 역대 왕이 머무는 공간이 존재한다. 바로 행궁. 훗날 자신이 왕위에서 물러나면 머물 생각으로 그는 화성에 행궁을 지었다.

현명한 신하

거중기와 녹로 등 축성 장비를 고안해 사용했기에 공사 기간이 무려 삼분의 일로 줄었다. 당시 기록에는 정약용이 공사책임제를 도입하고 공사에 동원된 백성에게 적합한 보상을 제공했기에 가능했다고 전해진다. 정약용의 합리적 사고방식이 스며든 화성, 중세 유럽의 성과 비교해 손색이 없다.

CREATED BY
MEDIA N


READ MORE


MEDIA 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