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RY
PLUS
BRIEF
NEWS CONTENT
MEDIA N
SINCE 2010
SCROLL RIGHT
통곡물
다양한 영양소
통곡물(whole grains)은 곡물의 세 가지 주요 구성 요소인 겨(bran), 배아(germ), 배유(endosperm)가 모두 포함된 상태의 곡물을 의미합니다. 이는 정제 곡물과 달리 섬유질, 비타민, 미네랄, 항산화물질 등 다양한 영양소가 풍부하게 보존되어 있어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2024. 12. 29.

항산화물질
비타민 미네랄
TOUCH IMAGE
통곡물 섭취
혈당 상승 완화
통곡물 섭취는 다양한 만성질환의 위험을 낮추는 데 효과적입니다. 통곡물 섭취는 심혈관 질환, 제2형 당뇨병, 비만, 일부 암의 발병률을 유의미하게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통곡물에 포함된 식이섬유, 저항성 전분, 항산화물질, 피토케미컬 등의 생리활성 성분이 혈당 조절, 콜레스테롤 저하, 장내 미생물 균형 유지 등에 기여하기 때문입니다. 특히 귀리와 보리에 풍부한 β-글루칸은 혈중 LDL 콜레스테롤을 낮추고, 식후 혈당 상승을 완화하는 데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건강한 노화
최근에는 통곡물이 뇌 건강과 정신 건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해당 연구에 따르면, 중년기에 통곡물을 섭취한 여성은 30년 후 만성질환, 인지 저하, 정신 건강 문제 없이 건강하게 노화할 가능성이 31% 더 높았습니다. 이는 통곡물에 포함된 항산화물질과 식이섬유가 염증을 줄이고, 뇌혈류를 개선하기 때문으로 해석됩니다. 또한, 통곡물은 포만감을 오래 유지시켜 과식을 방지하고, 혈당의 급격한 변동을 줄여 정신적 안정에도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포만감 유지
뇌혈류 개선
TOUCH IMAGE
주의사항
복부 팽만
통곡물이 건강에 유익하다고 해서 무조건 많이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은 아닙니다. 첫째, 일부 사람들은 통곡물에 포함된 식이섬유를 갑자기 많이 섭취할 경우 복부 팽만감, 가스, 설사 등의 소화기 증상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섭취량은 점진적으로 늘리는 것이 좋습니다. 둘째, 통곡물 제품이라고 하더라도 가공 과정에서 당분, 나트륨, 지방이 첨가된 경우가 많아, 제품 라벨을 꼼꼼히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셋째, 글루텐 민감증이나 셀리악병이 있는 사람은 밀, 호밀, 보리 등 일부 통곡물을 피해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