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럿이 만드는 미래, 모두가 연결된 미술관’을 지향하는 서울시립미술관(관장 백지숙)은 1월 14일(화) 언론간담회를 열고 2020년 프로그램을 발표했다.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 20주년을 맞이하여 2000년 비엔날레 원년의 정신을 제고하는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 2020 <하나하나 탈출한다 One Escape Read More
ISSUE
MEDIA N is KOREAN leading news service system. MEDIA N provides audiences in KOREA with high quality and distinctive services across online. MEDIA N also delivers impartial news and information to overseas KOREAN around the globe through the World Service.
세계가 인정한 과학기기 ‘금영 측우기’ 국보 지정 예고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은 근대시기 이전의 강수량 측정 기구로 우리나라 뿐 아니라 세계적으로 유일하게 남아 있는 것으로 알려진 보물 제561호 ’금영 측우기‘를 비롯해 조선 시대 측우(測雨) 제도를 계통적으로 증명해주는 2점의 측우대인 보물 Read More
“인터뷰 내내 당신을 두고 머릿속에선 저울질이 계속됐습니다”
한 해만 해도 무수히 많은 전시가 기획된다. 덩달아 작가들도 평가 받는다. 그 가운데는 비판도 있고 칭송도 있으며 때로는 조언도 있다. 작가를 향한 쓴 소리는 달갑지 않다. 그건 일반인도 마찬가지이지만…… MEDIA Read More
세상 밖으로 나온 ‘몰입남’…덕후 프로젝트 展
이달 11일, 북서울시립미술관에서 ‘덕후 프로젝트’ 전시회가 열렸다. 관람객 가운데 한 명이 편집자에게 의문을 표했다. “그들의 삶이 자신에게는 ‘몰입’이 아닌 ‘집착’으로 보인다고. 그들의 집착이 낳은 결과물이 전시장을 메웠다고.” 필자의 생각으로 ‘덕후’라 불리는 Read More
쉬운 언어가 사랑 받는다?!
이달 14일부터 서울시립미술관 서소문본관에서는 ‘SeMA Green 날개.파티’ 전시회가 열리고 있다. 5월 14일까지 진행될 전시회에는 안상수를 비롯해 파주타이포그라피학교 출신들의 작품이 관람객을 맞는다. 한글 폰트 가운데 ‘안상수체’로도 유명한 그는 글꼴 디자인, 타이포그라피, Read More
‘이강백의 심청’…인간은 죽음에 관대하다
이달 3일부터 두산아트센터 Space111 공간에서 이강백의 심청이란 연극이 무대에 올랐다. 누구나 아는 국민 효녀 심청전을 재해석한 작품으로, 진부한 소재인데 느낌이 새롭다. 이강백은 절제미와 함축적인 언어로 유명하고, 작품은 이 같은 평을 Read More
작가 조국현의 3대 가족전 시간을 잇는 情의 메시지
경기불황이 계속되는 가운데, 문화·예술계의 시름이 깊어간다. 창작활동이 원활하지 않고, 생계를 걱정해야 하는 작가가 늘었다. 하반기 경제회복 소식이 전해오지만 이마저도 확실치 않다. 뛰어난 콘텐츠와 기획이 아니면 일상에 찌든 현대인의 시선을 끌지 Read More
지화(紙花), 향(香) 서리다
지화(紙花)로 선승의 도(道)가 깊어간다. ‘삼사일언(三思一言)’이라 말하는 석용의 가르침은 해를 지나 향을 더했다. 2014년 석용은 작품을 선보이는 자리에서 겸손한 미소를 보였다. 종이로 형상된 꽃이 출가한 고승의 마음을 짐작하게 한다. 진흙에서 진주가 Read More
같은 공간, 같은 공간의 기억 작품에 담긴 시선(視線) 묶음…작가 허산
허산의 작품에는 세밀함이 담긴다. 초상화에 주력한 덕분이다. 그렇다고 사진과 같은 정밀이 아니다. 구상이 오히려 자유를 부여했다. 붓은 거칠되 선이 부드럽게 변했다. 사람과 사물의 이야기를 그림으로 풀어간 허 작가의 독창성이 돋보이는 Read More
기시감 품은 리듬의 힘 ‘작가 안광식’
음악이란 때로 추억을 소리로 풀어낸 이미지다. 눈으로 보이지 않을 뿐, 감미로운 색채가 상상 속에서 나래를 펼친다. 아울러 소리의 연속성이 우리를 자극한다. 이처럼 몸과 마음이 쏠린다면, 소리는 음악으로 변하고 감성을 깨운다.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