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 E D I A N
B R I E F

story
plus

흰 보석, 소금
인류를 살리는 물질 3%

식재료와 맛

생명의 근원 바다를 이루는 3% 물질은 소금. 단, 3%가 전 생물종을 살리고 있다. 그럼에도 세계보건기구(WTO)가 권장하는 하루 소금 섭취량은 5g. 없어선 안 될 물질이지만 지나쳐서도 안 되는 염화나트륨. 매일 가까이 두고 먹지만 때로는 필요악. 두뇌와 신경에 정보를 전달하는 데 쓰이는 소금은 식재료로써 인류 문명과 함께 했다.

금전과 동등한 대우, 건강에는 독

한때 소금은 귀중한 물질로 금전과 동등한 가치를 인정 받았다. 노동력과 교환하거나 물품 대금으로 인류는 소금을 사용키도 했다. 하지만 고혈압과 위염, 골다공증을 유발하는 유해 성분. 적당량이 아니면 소금은 생명을 위협한다.

바다에서 건지는 흰 보석

수분이 제거된 염화나트륨 조각은 반투명 상태로 빛을 반사하는 각진 형태를 보인다. 인류는 소금을 식탁 위에 올리며 취향에 맞도록 맛을 조절하는 식문화를 지녔다.

두 얼굴의 백색 결정체

신경통, 관절염에는 좋다고 알려진 소금. 소금하면 바다를 떠올리기 쉽지만, 더 흔하게 구할 수 있는 곳이 바로 광산. 소금 광산에서 채굴된 암염이 바다에서 얻은 천일염보다 더 많은 소비를 보인다. 국내에서는 암염을 채굴하지 않는 탓에 접하기 어려우나 인류는 천일염보다 암염에 익숙하다. 빛과 소금이라는 표현처럼 두 얼굴을 지닌 물질이 인류에게는 필요악이다.

CREATED BY
MEDIA N


READ MORE


story
plus

어둠 밝히는 신수 '코끼리'
코끼리 받침 촛대

불교 상징

불교 국가로 대표적인 미얀마에서 발견된 촛대. 불교에서는 코끼리를 신성하게 여긴다. 촛대는 코끼리 모양으로 제작됐고 재질은 흙을 구워 만든 도자기. 도자기는 고온에서도 변형이 없고 불에 타지 않는 성질을 지닌다.

초꽂이

초를 꽂는 곳은 코끼리의 머리 부분에 있다. 마치 사람이 모자를 쓴 것처럼 코끼리는 머리에 초꽂이를 올렸다. 모자 앞쪽에는 꽃무늬도 보이고 문양도 있어 멋을 더했다.

세밀한 묘사

촛대의 뒷쪽에는 코끼리의 꼬리가 하늘을 향한다. 귀 부분에는 줄무늬도 새겼고 목에는 장식을 둘렀다. 기다란 코 양쪽에는 코끼리의 이빨이 조각됐다. 코끼리의 상징이자, 귀한 조각재료로 쓰인 상아는 그 크기가 생각보다 작다.

주술 의식과 양초

과학이 발달하기 이전 인간은 주술 의식에 의미를 뒸다. 의례에는 당연히 초를 밝혀 어둠을 물리치는 행위가 수반된다. 유물 발견 위치가 불교 국가인만큼 코끼리 촛대는 제사 의식에도 사용됐다.

     

FEEL SO GOOD
MEDIA N


READ MORE

story
plus

괴수와 초를 등에 진 장사
중동의 나라 이란 촛대

구하기 어려운 고래기름

예로부터 고래 기름은 양초의 재료로 쓰였다. 지금도 금지된 포경은 희귀한 재료를 얻으려는 목적에서 암암리에 행해졌다. 대표적으로 고래 기름은 윤활유와 양초, 그리고 비누의 원료가 된다. 바다에서 살아가는, 가장 덩치 큰 포유류는 그렇게 사냥감이 됐다. 촛대보다 발달된 램프도 그 불빛을 만드는 데 고래 기름을 사용한다. 보존기간이 길고 태우는 데 있어 냄새도 없던 고래기름은 고가에 거래됐다.

사치재, 귀족의 전유물

어둠은 동서양을 불문한다. 당연 빛을 내는 물건은 고가에 거래됐다. 빛을 머금은 야광주, 고래로 만든 양초는 귀하기 귀한 물품. 중동의 원유가 지금처럼 대량 생산되기 이전 어둠은 문명의 발전을 더디게 하는 제약이었다.

특이한 형태, 촛대의 다양성

귀한 불빛을 내는 데 사용되는 양초, 이를 꽂아 두는 받침 역시 신경 쓰지 않을 수 없다. 나비와 화촉, 혹은 상상의 동물을 조각해서 멋을 더했다. 받침에서 보이는 사람이 등에 짐승을 지고 그 위로는 초를 태웠다.

나무 재질

나무는 오랜 인류의 역사에서 조각재료로 가장 많이 쓰인다. 불과 상극의 성질을 지닌 나무, 하지만 양초 받침으로 유물의 제작자는 나무를 택했다.

CREATED BY
MEDIA N


READ MORE


story
plus

선조의 빛
제작연대는 일제 강점기

촛대, 어둠을 밝히다

전기가 발견되기 이전, 밤은 인간에게 활동의 제약을 가했다. 위험이 커지는 시간, 짐승 또는 범죄를 막으려 기름을 구하고 촛대를 찾았다.

통행 금지

흔히 80년대에만 야간통행을 금지했다고 생각하지만, 고대에도 밤중에 돌아다니지 못하게 하는 제도가 존재했다. 야경꾼은 종을 치며 시간을 알렸고 마을 어귀에는 어김없이 고요함이 찾아 들었다.

방안을 밝히다

심지에 불을 지피고 방안에서는 여인들이 수를 놓거나 바느질에 매달렸다. 낮이 짧아지고 밤이 길어지는 겨울, 초의 중요성은 커졌고 집집마다 귀한 양초를 구하려 애를 써야 했다.

거북모양 받침

예로부터 장수를 상징했던 거북은 장생도와 같은 서화에 단골 소재로 등장했다. 특이하게도 촛대 하단부에는 거북 모양의 받침이 보인다. 발과 꼬리까지 조각하지 않았으나 등껍질과 머리 부분에서 거북의 형상이 뚜렷하다.

CREATED BY
MEDIA N


READ MORE


CURRY

BY MEDIA N

Sentence order & Image Puzzle

病從口入


Warning: Undefined variable $html in /hosting/median/html/wp-content/plugins/jumble/jumble.php on line 25

SUBSTANTIAL

  • Relating to
  • the main
  • or most important
  • things
  • being
  • considered.
Time
00 min
00 s

Warning: Undefined variable $html in /hosting/median/html/wp-content/plugins/jumble/jumble.php on line 25

HOSPITALITY

  • The act
  • of being
  • friendly
  • and welcoming
  • to guests
  • and visitors.

Warning: Undefined variable $html in /hosting/median/html/wp-content/plugins/jumble/jumble.php on line 25

Warning: Undefined variable $html in /hosting/median/html/wp-content/plugins/jumble/jumble.php on line 25

Warning: Undefined variable $html in /hosting/median/html/wp-content/plugins/jumble/jumble.php on line 25

Sentence order

FORMULATE

  • To develop
  • all the details
  • of a plan
  • for doing
  • something.

PROOFREAD

  • To find
  • and correct
  • mistakes
  • in text
  • before
  • it is
  • printed
  • or put online.

PATRON

  • A person
  • or group
  • that supports
  • an activity
  • or organization
  • , especially
  • by giving
  • money.

MORE QUIZZES

KRILL

BY MEDIA N

Sentence order & Image Puzzle

病上添病


Warning: Undefined variable $html in /hosting/median/html/wp-content/plugins/jumble/jumble.php on line 25

REFUGEE

  • A person who
  • has escaped from
  • their own country
  • for political
  • , religious
  • , or economic reasons
  • or because
  • of a war.
Time
00 min
00 s

Warning: Undefined variable $html in /hosting/median/html/wp-content/plugins/jumble/jumble.php on line 25

EMBROIDER

  • To decorate cloth
  • or clothing
  • with patterns
  • or pictures consisting
  • of stitches that
  • are sewn directly
  • onto the material.

Warning: Undefined variable $html in /hosting/median/html/wp-content/plugins/jumble/jumble.php on line 25

Warning: Undefined variable $html in /hosting/median/html/wp-content/plugins/jumble/jumble.php on line 25

Warning: Undefined variable $html in /hosting/median/html/wp-content/plugins/jumble/jumble.php on line 25

Sentence order

OPT

  • To make
  • a choice
  • , especially
  • of one thing
  • or possibility instead
  • of others.

GRIEVANCE

  • A complaint or
  • a strong
  • feeling
  • that you
  • have been treated
  • unfairly.

QUARANTINE

  • A period of
  • time during
  • which an animal
  • or person
  • that might
  • have a disease
  • is kept away from
  • other people
  • or animals
  • so that
  • the disease
  • cannot spread.

MORE QUIZZES

story
plus

향(香)
예로부터 주변의 나쁜 기운과 냄새를 없애려 나무에서 나오는 진액, 또는 나무 자체로 향을 만들어 사용했다.

종교의식과 향

분향, 즉 향을 피우는 행위에는 공경과 기도의 의식이 결합된다. 일반 가정에서 지내는 제사뿐 아니라, 불교와 가톨릭 등 종교에서도 분향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의식은 향을 피우는 행위로 시작된다.

뇌 감각과 직결된 향

사람의 후각은 뇌와 직결되는데 피로도가 다른 감각보다 높다. 즉, 쉽게 둔화되어 다른 종류의 냄새가 아니라면 분간하기 어렵다. 향은 경건함을 높이는 동시에 집중력을 살리고 편안함 감정도 불러온다.

기호품이자 필수품

과거 선조는 향을 태우는 행위를 선호했다. 선비의 풍류와 맞닿아 종교의식과 같은 특이한 때 이외에도 시를 짓거나 잠을 청할 때 향을 피웠다. 특히 외부에서 객이 오거나 여러 사람이 모일 일이 생길 경우 향은 필수품이었다.

향 피우고 손님맞이

집이나 사당, 건축물 바닥에 고정된 형태로 피우는 향로와 달리 둥근 형태의 향로도 발견된다. 새와 꽃 등의 장식을 겉면에 새겨 멋을 더했다.

CREATED BY
MEDIA N


READ MORE


story
plus

봉황(鳳凰)
창덕궁 대조전에 있던 벽화로 상서롭고 길조로 여겨지는 봉황을 그렸다. 덕이 있는 임금이 출현나고 태평성대가 이뤄질 때 봉황이 그 모습을 드러낸다고 전해진다.

상상의 신수

용과 기린, 거대한 거북 형상을 띤 영귀(靈龜)와 함께 사령(四靈)으로 분류된다. 봉과 황은 각각 암수를 구분하는 의미로 절개와 존엄 등을 상징한다. 청렴한 존재로 천길 하늘을 나는 봉황은 임금을 의미하기도 한다.

오동나무와 대나무

봉황도에서는 봉황 이외에도 오동나무와 대나무, 모란꽃 등이 발견된다. 오동나무가 아니면 내려앉지 않고 대나무 열매가 아니면 먹지 않는다는 봉황, 그 전설의 내용대로 화폭에는 주변환경까지 그렸다. 대나무는 빠르게 자라지만 꽃과 열매를 맺기까지 수십년이 걸린다. 60년에서 100년 넘는 시간 동안 한번 열매를 맺는다고 알려졌다.

산해경의 시각화

중국 고서 산해경(山海經)에서 언급한 봉황을 그림으로 그렸다는 봉황도, 산해경은 각종 신화와 고대 지리에 관한 기록이 서술됐다. 모두 18권으로 제목과 같이 산과 바다에서 발견된 풍물이 이야기로 전해진다. 환상과 상상의 산물로 여겨지는 일들과 실제 지명 및 나라 이름이 동시에 수록된 중국 고전이다.

모란과 바위, 그리고 폭포

부귀를 상징하는 모란과 장수를 기원하는 바위, 그리고 풍류가 엿보이는 폭포에서 그림의 존귀함이 드러난다. 화폭에서 보이는 태양 역시 임금의 덕치를 상징한다. 각각의 봉황은 날기도 하고 때로는 내려앉아 쉬기도 하면서 우아함을 뽐낸다.

CREATED BY
MEDIA N


READ MORE


story
plus

비엣(Viet)족 향로
베트남 향로, 비엣족은 다른 명칭으로 킨족(京族)이라 불리기도 한다. 베트남은 54개에 달하는 다민족 국가. 비엣족은 최대 다수족이며 이외에 따이족, 므엉족, 크메르족 등이 존재한다.

용문양 음각과 4개의 다리

중앙 부위에는 용의 형태를 음각으로 새겼다. 하단 받침대 위로 네 개의 다리가 있고 상단 부위를 지탱한다. 아시아 국가답게 신성시하는 동물 '용'으로 향로를 장식했다.

환상 신수(神獸)

향로 꼭대기에는 머리에 뿔이 달린 사자상을 올렸다. 환상의 동물은 여러 맹수의 장점을 합친 모습으로 네 개의 발과 긴 꼬리를 지녔다.

향로에 열린 열매

동남아시아와 태평양 연안에 서식하는 빈랑나무 열매를 향로 양쪽에 달았다. 빈랑에는 강한 각성효과가 있어 나무가 자라는 곳의 주민들은 식사 후에 그 열매를 씹는다. 커피와 같은 기호품인데 현대에는 발암물질로 분류되어 각종 규제를 받는다.

황동 재질

조상을 모시는 사당에 향을 피우려는 목적으로 제작된 향로는 황동으로 제작됐다. 구리와 아연의 합금 '황동'은 흔히 놋쇠라 불리며 예로부터 공예품과 악기를 만드는 데 쓰였다.

CREATED BY
MEDIA N


READ MORE


story
plus

청동귀면문로 | 문화재청
귀면은 큰 눈과 강조된 코, 날카로운 송곳니 등을 가진 괴수의 얼굴을 뜻한다. 공격적인 모습과 위엄이 서린 형상으로 고분과 건축물, 의례도구 등에서 발견된다.

수면(獸面) 조각한 다리

하단 부분에는 세 개의 다리를 만들어 받침대의 역할을 대신한다. 각각의 다리에는 짐승의 얼굴을 조각함으로써 공포와 위엄을 살렸다. 귀, 코, 큰 이빨까지 세밀하게 표현했다. 전면부와 같은 동물의 형상을 띠고 있다.

환상 동물, 도철

귀면과 유사한 문양은 중국 은나라 시대의 청동기 유물에서도 발견된다. 도철문으로도 불리는 괴수 형상은 도철(饕餮)이라는 신화적 동물의 상상이다. 도철은 흉수로 분류되며 두려움의 대상이었고 변방으로 쫓겨났다. 도철을 포함한 4대 흉수는 궁기(窮奇), 도올(檮杌), 혼돈(混沌)이다.

2% 부족한 귀면로

익살스러운 귀면의 외형은 보존상태가 좋고 문양 역시 세밀하다. 양쪽 송곳니를 두고 가지런한 이빨이 보이고 입을 벌린 상태를 표현함으로써 혀까지도 조각했다. 완벽하리만큼 좌우 대칭 구도가 좋고 짐승의 눈썹과 귀까지도 뚜렷하게 확인된다. 다만, 양쪽 고리가 있어 무거운 귀면로를 들었을 것으로 보이나 현재는 손잡이 부분은 없다. 안쪽에 불받침대 또한 사라졌다.

청동, 시간의 흔적에 색이 있다면 푸른색

구리와 주석의 합금 청동은 예로부터 무기, 조각 등의 재료로 사용됐다. 청동기시대를 거치는 동안 인류는 칼, 기계부속 등을 청동으로 만들며 문명을 발전시켰다.

CREATED BY
MEDIA N


READ MORE


MEDIA N